본문 바로가기
돈버는 이야기/거시경제 인사이트

원달러 환율의 상승 반전

by 드림어치버 2020. 12. 18.
반응형


미국 주식을 시작한지 10개월 차. 1200원하던 환율이 1080원대로 내려와 환차손이 거의 몇백을 육박한다.

근데 요즘 환율이 심상치 않다. 바닥을 찍고 올라가는 느낌.
어제 미국과 달러 스와프 협정 기한을 늘렸다는데 아무래도 달러 유출이 시작됨을 알고 늘린 것이 아닐지.

http://naver.me/5FkyCWVD

 

600억달러 韓美 통화스와프 2차 연장…"내년 9월까지" (종합)

[아시아경제 김은별 기자] 한국과 미국 간 600억달러(약 65조원) 규모의 통화스와프 계약이 6개월 더 연장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 초기였던 3월 체결했던 한미 통화스와프

n.news.naver.com


한국 국채 3년물 금리도 1%에 육박. 외국인들이 한국 국채를 팔고 있다는 소리.


국채금리 상승은 시장금리 상승을 유도한다. 게다가 정부의 압박으로 각 은행들은 대출 규모를 줄이고 있기도 하다. 연말 건전성을 위한거라고는 하지만 난 그보다는 가계대출 증가에 대한 우려가 더 크다고 본다.

http://naver.me/GDE0n7B1

 

은행대출 점점 막힌다…카뱅도 연말까지 '마통 신용대출' 중단

(서울=연합뉴스) 김연정 기자 = 연말 가계대출 총량관리에 나선 은행권이 잇따라 신용대출을 조이는 조치에 나선 가운데, 인터넷 전문은행 카카오뱅크도 이달 말까지 한시적으로 '마이너스통장

n.news.naver.com


우리나라 코로나 확진자가 매일 1000명씩 늘고 있는 상황. 미국이나 유럽은 백신을 접종하고 있다는데 우리나라는 아직 FDA승인 받은 화이자 백신은 입수조차 못했다. 이런 상황이니 외국인들에겐 앞으로 더이상 매력적으로 느껴지지 않는 것 아닌지.

오늘도 코스피에서 외인 매도세가 큰 상황.
앞으로의 추이를 더 살펴봐야 하겠지만 3단계를 머뭇거리다간 겨울의 초입인데도 1000명을 찍는 상황에서 2000명을 바라볼 날도 머지않은 듯 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