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中 생산자물가 상승률, 2년 9개월 만에 최대
중국의 3월 생산자 물가지수(PPI)가 전년 동월 대비 4.4% 상승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중국 국가통계국 발표 내용을 인용해 9일 보도했다. 같..
biz.chosun.com
중국의 3월 생산자 물가지수(PPI)가 전년 동월 대비 4.4% 상승했다. 지난 2018년 7월 이후 33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중국의 생산자물가지수는 전 세계의 물가와 연관이 있다. 중국이 물건 값을 올리게 되면 그 물건을 수입하는 전 세계의 나라에서 소비자물가지수가 올라가게 되는 것이다. 한국의 소비자물가지수 또한 상승 중이다.
2008년 1월 이후의 소비자물가지수, 한국은행 기준 금리,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 등락률을 그래프로 뽑아보았다. 그래프는 ecos.bok.or.kr/ 에서 볼 수 있다.
러프하게 보니 시점이 잘 안보여 그림판으로 조금 편집해 보았다.
소비자 물가지수가 2% 이상 수준으로 유지될 시 기준금리 인상이 따라왔다. 그리고 그 금리 인상은 시간차를 두고 아파트 매매 가격 하락에 분명한 효과를 주었음을 볼 수 있다. 앞으로 중국의 생산자물가상승에 따른 반작용으로 한국의 소비자물가지수의 상승을 불러오고 2% 이상으로 유지될 시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인상하게 될 것이다. 그 이후 아파트 매매가의 변화는 하방으로 갈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소비자물가지수를 눈여겨봐야 하는 이유이다.
반응형
'돈버는 이야기 > 거시경제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항공주 실적 발표 시즌 (0) | 2021.04.19 |
---|---|
오늘 저녁, 중대한 미국 CPI 발표 (0) | 2021.04.13 |
미국은 어느 나라보다 빠르게 회복 중 (0) | 2021.04.01 |
김일구의 쩐쟁, 본질에만 집중해라. (0) | 2021.03.25 |
3월 FOMC 성명 결과 정리/미국 10년 국채금리 1.7% 돌파 (0) | 2021.03.18 |